본문 바로가기
주식 용어 정리

[초보 투자자 용어 정리] 미래에 대한 기대 "PER"

by 초보투자자의 일기 2024. 2. 3.

오늘의 주식 용어는 PER이 무엇인지에 대해 공부해 볼 거에요.

주식을 시작하며 다들 주가를 확인할 때 PER 라는 지표는 굉장히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용어일 텐데, 이 지표의 의미를 몰라서 확인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흠흠.. 저도 잘은 몰랐습니다)  

 

 

우선 PERPrice Earning Ratio 라는 용어의 약자로써 주가 대비 회사의 수익 비율을 의미해요.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이라고 해요.

 

 

쉽게 설명을 하면, 현재 회사의 자기 자본 가치 500 만원이고 1년 동안 벌어들이는 수익이 10 만원이라면 PER50이 되는 것이지요.   

여기서 PER은 주가/주당 순이익을 의미한다고는 저는 아직 여전히 어려워 찾아보니 그냥 간단하게 현재 시가총액/당기 순이익으로 나누어도 된다고 해요.

 

 

대부분 PER이 높으면 현재 주가가 고 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반대로 낮으면 저 평가되고 있다는 지식은 상당 수의 사람이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마냥 이것만 가지고 모든 주식을 일관적으로 생각하면 절대 안되요.

 

PER회사의 미래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는 지표에요.

때문에 아직 현재 버는 수익은 적지만 추후 굉장히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분야일수록 시장에서는 더 비싼 값을 인정을 해줘요.

제약/게임/이차전지/친환경/IT와 같은 분야는 굉장히 높은 PER을 가지고 있는 반면 금융/보험/카드와 같은 분야는 낮은 PER이라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거에요.

  

때문에 PER업종 별, 그리고 같은 회사의 분기별 PER을 확인해보면 좋다고 생각해요.

해당 업종의 PER이 어느 정도에 형성이 되는지, 그리고 회사의 PER이 평균적으로 얼마였는지를 확인해보면 좀 더 합리적인 가격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PER을 비교하는 것이 항상 100% 옳다고는 말 할 수 없어요, 하지만 가뜩이나 어려운 투자 상황을 좀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지 않을까요?

 

-From 초보 투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