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용어 정리

[초보 투자자 용어 정리] 기업의 상태 알려주는 "EPS와 BPS"

by 초보투자자의 일기 2024. 12. 29.

오늘의 주식 용어는 EPS 그리고 BPS 이 두가지 용어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최근 주식 용어 공부를 해오면서 아직 공부가 굉장히 부족하지만 그래도 조금씩은 용어가 이해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 정말 보람을 느낍니다!. (이제는 정말 한 발자국은 나아간 것 같은 만족감이! .^.^.) 

 

언젠가는 용어나 수치만 보고도 머릿속에서 정리가 될 수 있는 날을 기약하며,  그런 의미에서 오늘도 용어를 몇 가지 정리해보려고합니다~

 

오늘은 EPSBPS에 대해서 용어를 공부해볼 것입니다.

이 두 가지 용어도 마찬가지로 항상 기업의 펀더멘탈을 확인하면 하단부에 존재하는 용어들입니다. 하지만 이전에 배웠던 다른 용어들은 전부 비율 (%)로 결과값이 나타났다면, 이 친구들은 전부 원 단위로 표시가 되어있다라고요.

 

우선 EPS를 먼저 살펴보자면 Earning Per Share로 쉽게 말씀을 드리면 현재 기업이 벌어들이고 있는 순 이익 (당기순이익)을 현재 상장되어 있는 기업의 주식 수로 나눈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기업의 주식 1주당 얼마나 많은 수익을 만들어냈는가에 대해 나타내는 지표인만큼 해당 지표가 높을수록 경쟁력이 있는 회사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헷갈렸던 점은 PER 역시 기업의 수익성과 연관이 있는 지표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지표를 굳이 다른 표현을 써가며 작성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 의구심이 들었던 것 같아요. (실제로 저는 공부를 하면서 ..응? 이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헷갈리는 순간이기도 했습니다. ~.~)

 

EPS와 PER의 식을 통한 차이점 확인

 

 

그래서 둘의 차이점을 말씀드리면 제가 이해한 것을 토대로 말씀을 드리자면, EPS는 기업의 1년당 창출하는 수익, 즉 기업의 상태를 나타낸다면,

PER의 경우에는 Price Earning Ratio로써 기업의 순이익이 주가에 잘 적용되고 있는지, 주식 가격의 반영 측면에서 따져보는 지표로써 현재 형성되어 있는 주가를 EPS로 나눈 값을 통해서 현재의 가격이 저평가인지 혹은 고평가인지를 확인하는 것이지요. 

 

(분명 저번에 PER을 공부할 때 주당순이익을 공부하고 넘어갔었는데, 지금 영어로 다시 확인하니 용어가 너무 생소하고, 공부가 부족했던 것 같더라고요 @.@) 

 

주식 수가 많아지면 EPS가 낮아지는 이유

 

EPS가 높으면 실적이 준수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앞으로의 미래 전망 그리고 배당의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주기 때문에 주가의 상승을 불러일으키는 촉매로써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EPS는 기업이 보유한 주식 수에 따라 변동이 될 수 있는 수치라고 합니다. 또한 유샹증자, 주식 전환사채 등에 의해 주식 수가 늘어나게 된다면 그에 따라 하락할 수 있는 수치이기에 확인할 때 유의하시는 것은 필요하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회사의 이익 (분모)는 똑같은데, 주식 수 (분자)가 늘어나면 나누어야할게 많아지니 EPS가 줄어든다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아요!!)  

 

 

BPS와 PBR의 식을 통한 차이점 확인

 

다음으로 BPS의 경우를 살펴보자면 Book-value Per Share 현재 기업이 가지고 있는 순 자산 (전체 자산 - 부채)을 현재 기업의 발행 주식 수로 나눈 지표 (주당 순자산가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청산가치라고도 불리는데, 기업이 활동을 중단 시, 축적한 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나누어줄 때 1 주당 받을 수 있는 가치를 나타내기도합니다.

 

BPS 역시 PBR과 함께 고려되어야하는 점은 앞서 설명드린 것과 마찬가지로 BPS에서는 확인이 어려운 순자산의 영향에 대한 가격 반영 측면을 PBR을 통해서는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상적으로 수익을 내는 기업들의 경우는 기업의 순자산가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BPS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이는 것을 화인할 수 있어요. 또한 BPS가 높을수록 수익성과 재무구조가 튼튼하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는 투자가치 역시 뛰어난 기업이라고해요!

하지만 BPS 역시 주식 수의 증가에 대해 하락할 수 있는 수치이기에 이점은 꼭 주의를 해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오늘 하루도 수고 많으셨고, 부족한 저의 글을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내일도 기쁜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From 초보 투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