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

[초보 투자자 용어 정리] 시장의 변동성, 공포지수 "VIX" 오늘은 VIX라는 용어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다들 미국 증시에 관심이 많으신가요? (저는 국내, 미국 주식 둘에 반반씩 투자를 하여 정말 관심이 많습니다. ^^)  오늘은 이러한 미국 증시의 기대 변동성과 관련된 VIX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VIX는 Volatility Index의 약자로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기대 변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를 한 지표입니다. 특히 향후 미국 주식시장 (향후 30일간의 S&P 500의 풋옵션과 콜옵션의 합산)의 변동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견해와 기대감을 반영하는만큼 시장에서는 "공포지수"로 명칭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VIX 지표가 보통 투자자들이 현재의 주식 시장에서 느끼는 시장에 대한 스트레스와 리스크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 2025. 1. 5.
[초보 투자자 용어 정리] 13월의 월급, 배당을 알려주는 "DPS" 오늘은 DPS라는 용어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최근 12월말 결산 배당기준일도 지나고, 오늘이 2024년 마지막 매매거래일이라는 소식을 들으니깐 정말 한해가 끝나가는 기분이 듭니다. (새해 목표로 잡았었던 주식 용어 정리는 아직 마무리 짓지는 못했지만... (ㅡ.ㅡ)) 오늘은 그런 의미에서 연말에 항상 핫 이슈로 떠오르는 배당과 관련된 DPS에 대해서 용어를 공부해볼 것입니다.여러분은 13월의 월급이라는 말을 아시나요? 바로 배당을 의미하는 용어인데, 기업의 경영활동으로 남긴 이익금을 주주에게 환원해준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배당은 지급의 형태에 따라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으로 구분이 되며, 배당기준일 딱 하루만 주식을 가지고 있어도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됩니다.(우리나라는 보통 결산 .. 2024. 12. 30.
[초보 투자자 용어 정리] 기업의 상태 알려주는 "EPS와 BPS" 오늘의 주식 용어는 EPS 그리고 BPS 이 두가지 용어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최근 주식 용어 공부를 해오면서 아직 공부가 굉장히 부족하지만 그래도 조금씩은 용어가 이해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 정말 보람을 느낍니다!. (이제는 정말 한 발자국은 나아간 것 같은 만족감이! .^.^.)  언젠가는 용어나 수치만 보고도 머릿속에서 정리가 될 수 있는 날을 기약하며,  그런 의미에서 오늘도 용어를 몇 가지 정리해보려고합니다~ 오늘은 EPS와 BPS에 대해서 용어를 공부해볼 것입니다.이 두 가지 용어도 마찬가지로 항상 기업의 펀더멘탈을 확인하면 하단부에 존재하는 용어들입니다. 하지만 이전에 배웠던 다른 용어들은 전부 비율 (%)로 결과값이 나타났다면, 이 친구들은 전부 원 단위로 표시가 되어있다라고요.. 2024. 12. 29.
[초보 투자자 용어 정리] 기업의 수익성을 보여주는"EV/EBITDA" 오늘의 주식 용어는 EV/EBITDA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기업의 펀더멘탈을 확인하고자 기업 현황이나 종목분석에 들어가보았을 때, 여러분은 "EV/EBITDA"라는 용어를 본적이 있으신가요? 모든 사람에게 공개적으로 공개가 되어있는 정보이기에 당연히 이해하는 사람이랑 모르고 투자를 하는 사람이랑은 기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있지 않을까 항상 고민은 했었지만, 막상 건드리기는 무서워서 접근조차 하지 않았는데 오늘 드디어 한번 알아가보고자 합니다! (벌써 반쯤 죽어있지만 지금이라도 알고 가야될 것 같아요. X.X)    우선 EV/EBITDA는 Enterprise Value to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 2024. 12. 27.
[초보 투자자 용어 정리] 기업의 현금흐름을 알려주는 "PCR" 오늘의 주식 용어는 PCR이 무엇인지에 대해 공부해 볼 거에요.이전에 같이 공부하였던 PER, PBR 이외에도 주식을 사기 전에 무엇을 보면 이 어려운 시장에서 확신을 가질 수 있을지 고민을 하면서 공부를 시작했어요. (최근에 국내 주식 시장이 요동치는 것을 보면서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매일 아침에 확인하는 제 계좌는 어느 순간엔가 시퍼런 멍이.., ㅜ.ㅜ) 그리고 아직 업황도 공부가 너무 부족하고, 기초적인 용어의 개념도 많이 부족한 것 같아서 정말 넘어야할 산이 많고 그렇기에 용어 공부도 서둘러 열심히 해야될 필요성도 많이 느꼈지요. (생각보다 너무 많았어요...)    하지만 하루에 조금씩이라도 준비를 하면 나중에는 전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내 계좌도 빨갛게 될 것이라고 .. 2024. 12. 26.
[초보 투자자 용어 정리] 안정적인 투자를 위한 지표 "PBR" 오늘의 주식 용어는 PBR을 준비해봤어요. 최근에는 정부에서 저 PBR 종목의 가치를 높이는 정책을 펼친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어 공부해보자는 의미도 있고, 주식을 시작하며 PER과 마찬가지로 PBR 역시 쉽게 접할 수 있는 용어라고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요. 사실 저는 PER에 대해서는 자세하게는 몰라도 어렴풋이 조금은 이해를 하고 시작했는데, PBR에 대해서는 솔직히 잘 모르겠더라고요…먼저 PBR의 의미는 price-to-book ratio라는 용어의 약자로써 PER이 주가 대비 회사의 수익 비율이라면 PBR은 주가 대비 회사의 순자산 비율이라고 하더군요.즉 PER은 현재 회사가 수익성 면에서 주가를 판단한다면, PBR은 현재 기업의 자산과 비교해 현재의 주가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이에요.  PBR의.. 2024. 2. 4.